빅데이터분석기사 취득 Real 후기(비전공자)

    후후 이렇게 쓰면 많이 방문하겠지(?)

     

    하지만!! 실제로 나는 데이터관련 전공자가 아니고,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취득했으니 다 맞는말이다

    단지 비전공자지만 데이터분석업무를 하고 있어서 파이썬으로 데이터 전처리는 매우 쉽다는점 빼고는...

     

    때는 바야흐로

    올해 5월 데이터분석가업무로 취업한 이후 3개월간의 야생에서의 업무 적응을 마치고 이제서야 숨을 돌릴 수 있을 때

     

     

     

     

     

     

    스스로에 대해 데이터분석직무를 하기에는 내가 아직 부족하구나 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래서 관련 자격증도 딸겸! 그리고 공부도 할겸 해서 데이터 관련 자격증을 찾다가 빅데이터 분석기사를 발견했다

     

    문과 출신인 내가 기사자격증이라니 나도모르게 기사라는 단어에 홀려 필기시험을 덜컥 신청해버렸다

     

    약 2달간 공부했는데,

    직장인이라 평일에는 거의 1시간밖에 못했고 주말은 토요일 일요일 중 하루 정도 4시간 정도 투자했던거 같다!

    필기 책은 다들 의견이 분분하여 그냥 마음에 드는 책 사면 될 것 같다! 나는 이기적 교재로 공부하였다

     

    총 4과목이 있는데, 3,4과목은 빅데이터 모델링과 시각화였는데, 그래도 주워들은게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통계인 2과목과 그냥 달달 외워야 하는 1과목이었다

     

     

    하지만 나 포기하지않는다.

    2과목은 유튜브 강의를 많이 들었다

     

    1. 통통튜브(통알못들을 위한 통계튜브) Sapientia a Dei 님

    https://www.youtube.com/@SapientiaaDei

     

    Sapientia a Dei

    통알못을 위한 통계튜브 - 통통튜브 - 통알못(통계를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통계튜브입니다. 이런분들에게 적합합니다. 1. p값이 0.05보다 큰지 작은지만 말할 수 있는 분 2. 그런데 p값이 뭔지

    www.youtube.com

     

    이 분 강의는 최고다. 통계의 기초를 잡기에 아주 좋은 강의

     

    2. 빅공남

    https://www.youtube.com/@seeyapangpang

     

    빅공남(빅데이터 공부하는 남자)

    KAIST 수학 전공 (빅데이터 수학,통계,코딩,엑셀) 빅공남 티스토리 http://seeyapangpang.tistory.com 빅공남 블로그 http://blog.naver.com/seeyapangpang 데이터 수집,데이터 정리,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와 관련된 내

    www.youtube.com

    이 분 도 정말 쉽게 잘 설명해주신다 ! 추천@@@@

     

     

    아직 5회(코로나로 1회 연기되서 시험은 총 4회)시험이라 시험범위나 출제경향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아서 두루두루공부 하는게 중요한것같다.

     

    그 결과 필기는 68.75점이라는 성적으로 합격 하였다

     

     

    필기에 합격하게되면 실기까지 약 한달하고 이주의 시간이 주어진다(합격자발표이후로)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여파였을까.. 실기 공부ㄱ ㅏ하기 싫어졌다

     

    결국 시험 이주전부터 공부를했다ㅋ

    근데 공부를 한건지는 모르겠다 사실 실기 중에서 작업형은 전처리와 모델링이라서 일하면서 공부도 같이 하는 느낌(?) 이라 

    큰 문제 없었는데 가장 중요한건 단답형이었다

     

    필기 내용을 거의 까먹어서 일주일동안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단답형 정리된 것만 달달 외웠다

     

     

    사실상 단답형만 공부한셈

     

    85점으로 무난히 합격했다 ㅋㄷ

     

     

    이게 바로 비전공자의 빅데이터분석기사 취득 Real 후기다

     

    정리하자면 필기는 2단원이 핵심인것같고

    실기는 사실 적업형2유형은 RandomForest를 통해서 Modelling을 하면된다

    Classifier 인지 Regressor 인지만 잘 판단하면된다. 만약 그래도 불안하다면 Hyper parameter로 Tuning 하면된다.

    왜냐면 코드 실행시간이 1분으로 limit이 걸려있어 Grid Search는 impossible 하다.

     

     

    작업형 1유형은 데이터마님 홈페이지를 통해서 연습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www.datamanim.com/intro.html

     

    DataManim — DataManim

    Toggle in-page Table of Contents

    www.datamanim.com

     

    그럼 이만 Real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

    'Abou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회고 -  (2) 2023.01.01
    우당탕탕 데이터분석 이야기  (0) 2022.12.31

    댓글